환경을 생각하고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
수원시 생활하수를 4개 하천(수원천,서호천,황지천,원천천)을 통하여 모아 처리하는 '공공하수처리시설'과 시 전역의 분뇨를 전량 수거하여 처리하는 '위생처리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2개 처리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 운영 관리하기 위하여 1993년12월31일 환경사업소가 발족되었습니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수원시의 도시생활 환경개선, 방류수역의 하천 생태계 보전 그리고 하류지역에 양질의 농업 용수 확보를 위하여 1989. 6. 16일 건설부의 설치인가를 받아 총60,504백만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5-1번지 일원의 168,785㎡ 부지에 1차로 165,000㎥/일 처리규모의 시설을 '95.6.30일 준공하였고, 2차로 55,000㎥/일 처리규모의 시설을 '96.12.30일 준공하여, 1단계 계획용량 22만㎥/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하여 가동하고 있습니다.
2005.3.24 일 219,076㎡ 부지에 30만㎥/일 처리규모의 제2단계 하수처리시설을 확장하여, 총 52만㎥/일 처리규모의 하수처리시설을 갖추고 수원시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하수 전량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본 처리장에는 시 전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4개 하천(수원천, 서호천, 황구지천, 원천천)의 차집 관거를 통하여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된 하수는 각 처리 공정을 거쳐 황구지천으로 최종 방류되어 서해 아산만으로 유입됩니다.
위생처리장은 수원시 전역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본 처리장은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557번지 일원의 10,532㎡의 부지에 140㎥/일 처리용량의 시설을 갖추고 '85. 12월에 가동되었으며, 시설물을 개선하여 총 340㎥/일 처리용량의 규모로 수원시 위생처리장 관리사업소 직제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1993. 12. 31일자로 수원시 환경사업소로 직제 개편되어 위생처리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02. 12. 6일, 시설용량 340㎥/일에서 500㎥/일로 시설용량이 증설 인가되어 2003. 12. 20일자로 수원도시관리계획(수질오염방지시설:분뇨처리장)실시계획변경에 따라 주소가 고색동 623-1번지로 바뀌고, 면적이 9,850㎡로 축소되었습니다. 본 처리장은 500㎥/일의 분뇨전처리만 하는 시설로 협잡물을 제거한 후 수원시 하수처리장으로 분뇨 전용관을 통하여 이송처리하며 이후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여 방류합니다.
서호생태수자원센터는 서호천 중상류에 위치한 북부처리구역의 발생하수를 별도 처리하기 위하여 2009. 8.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인가를 받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410-6번지 일원의 71,679㎡의 부지에 47,000㎥/일 처리규모의 시설로 2011.10.31일 준공되었습니다.
본 처리장은 인접한 저수지 및 하천에 유지용수를 공급하여 수역의 수질을 보전하고 있으며, 처리장 상부에 생태공원 및 체육시설을 조성하여 주변에 위치한 서호 공원, 여기산 공원, 서호하천과 연계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황구지생태수자원센터는 화성시에 위치한 수원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하수량 증가로 인해 추가적인 처리시설 증설 및 부지로 협소로 인해 확장이 불가함에 따라 황구지천 처리구역(입북, 금곡, 구운처리분구)에서 발생되는 하수처리시설을 건설하여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공중위생 향상 및 공공수역의 수질보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어 경기도 수원시 권선로 137 일원의 77,317㎡ 부지에 45,000m3/일 처리규모의 시설로 2024년 12월 25일 준공되었습니다. 본 처리장은 인접한 하천에 유지용수를 공급하여 수역의 수질을 보전하고 있으며, 처리장 상부에 생태공원 및 체육시설을 조성하여 주변에 위치한 황구지천과 연계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